본문 바로가기
경제 이야기

미국채30년엔화노출 ETF 출시, 상품 출시 배경에 대해 알아보자

by 그레이트츄 2023. 12. 30.
반응형

Kb증권에서 12월 27일 출시한 미국채30년엔화노출 ETF가 출시되었다. 이름도 복잡한 상품인데 이 상품의 출시 배경에 대해 알아보자

1)미국채30년엔화노출 ETF란?

 

미국채30년엔화노출 ETF, 출처: kbstaretd.com

12월 27일 출시된 ETF 상품이며, 그냥 보기에 매우 복잡한 이름의 상품이다. 이 ETF의 이름을 해석해 보자.

미국채
미국채에 투자를 하고
30년
30년 장기 국채이며
엔화노출
엔화로 투자가 되며, 엔/원 환율이 반영되는 ETF

제일 중요한 수수료는 0.15%이며,
한화자산운용에서 출시한 달러/원 환노출 상품인
Arirang미국채30년액티브 ETF의 수수료 또한 0.15%이다.

이름만 보면 왜 이렇게 까지 복잡하게 만들었을까?라는 의문이 든다.

2) 복잡한 상품의 출시 배경


최근 금리 인하 기대감으로 미국 장기채 투자에 대한 인기와 관심이 많아지고 있다.

거기에 더불어 엔화가치 상승까지 바라보며 미국채+엔화 투자 두 가지의 이점을 얻을 수 있는 일본판 TLT(미국 상장 장기채 ETF)인 2621 ETF(일본 주식 상장 ETF)로 많은 투자금이 몰리고 있다.

일본에 투자하는 일학개미들을 잡기 위한 대체 상품이라 생각한다.

3) 투자했을 때 기대 수익은??


한 달 전으로 시계를 돌려 미국채 30년에 투자하는 TLT와 엔화의 수익률을 봐보자.

TLT ETF, 출처: 인베스팅닷컴
엔/원 환율 출처: 인베스팅닷컴

한 달 전 보다, TLT는 7.51% 상승, 엔화 투자 시 4.5% 상승, 합산하면 한 달 만에 12.01% 상승이다.

미국채30년엔화노출 ETF가 한 달 전에 출시했으면 대략 저 정도의 수익률이 아닐까??

한 달 전으로 돌아갈 수 없으니, 앞으로의 기대수익은
금리 1% 인하 시 TLT는 대략 10~12% 정도 상승을 본다고 한다.

엔화는 현재 918원까지 올라와 있고, 950원까지 바라본다면 미국 금리 인하 시기와, 엔화 가치 상승까지 같이 온다면, 최소 10% 이상의 높은 수익률을 볼 수 있겠다.

하지만 제일 중요한 건… 투자는 길게 보고 어떤 일이 일어날지 모른다는 점이다.

지금까지 알아본 미국채30년엔화노출 ETF는,
2621 ETF를 투자할 경우에 발생되는 복잡한 방식과 수수료를 대체할 수 있는 매력적인 상품이다.

예시) 엔화로 환전하고(환전수수료 발생), 일본주식 매매(매수 매도 수수료 발생), 다시 원화 환전(환전 수수료 발생)




728x90